▲ 2019년 1월 김해공군
페이지 정보

본문
▲ 2019년 1월 김해공군기지에서 열린 에어버스의 공중급유기 전력화 행사 유럽의 초대형 방산업체 에어버스DS(Defence&Space)와 산업통상자원부가 1년 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출범을 예고했던 에어버스 ITC(International Technology Center) 계획이 가뭇없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한국에 터를 잡는 에어버스의 첫 첨단 우주항공 R&D 센터로 기대를 모았지만 예상과 달리 에어버스DS 측은 돈도 기술도 내놓지 않았고, 참여를 희망했던 방산업체와 지방자치단체들은 등을 돌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ITC는 에어버스DS가 우리 공군에 공중급유기를 공급한 데 대한 반대급부로 수천억 원 상당의 방산 관련 기여를 제공하는 절충교역의 일환으로 알려졌습니다. 황당하게도 에어버스 ITC는 우리 지자체와 방산업체들이 땅과 시설, 인력, 돈을 대고 R&D 프로젝트도 스스로 알아서 확보하는 구조였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에어버스DS는 ITC에 에어버스 이름만 빌려주는 꼴입니다. 이런 식의 '립서비스' 절충교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ITC 유치에 애썼던 지자체들로부터 "ITC가 빈껍데기인 줄 몰랐다", "에어버스에 농락당했다" 등 험한 소리가 쏟아지고 있고, 방산업계에서는 "중앙 정부, 방산업체들이 모두 에어버스에 속았다"는 지적이 나오는 판입니다. 절충교역을 관리감독해야 하는 산자부와 방사청은 오히려 에어버스DS와 부적절한 행위를 한 사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ITC 계획은 어려워졌다!" 에어버스 ITC 설치 MOU를 홍보하는 산자부의 보도자료 산자부와 에어버스DS는 작년 5월 10일 에어버스 ITC의 한국 설립 MOU를 체결했습니다. 산자부는 "2022년부터 공들여 이룬 성과"라면서 "국제 R&D 협력을 기대한다"고 자랑했습니다. 한발 더 나아가 "에어버스 ITC는 한국과 에어버스의 R&D 협력 플랫폼으로 확장될 것"이라며 장밋빛 청사진을 펼쳤습니다. ITC가 들어설 곳은 작년 중에 선정될 참이었습니다. 여기에서부터 이상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국제적인 R&D 시설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들이 제안서를 내면 산자부가 평가해서 고르면 될 텐데 산자부는 굳이 수억 원을 들여 입지 선정 용역을 모 업체에 맡겼문화체육관광부와 해양수산부는 크루즈관광 7대 기항지(인천·부산·제주·여수·속초·포항·서산) 지자체와 함께 26일 인천 상상플랫폼에서 '2025년 크루즈 관광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문체부와 해수부는 지난해 6월 '크루즈관광 활성화 방안'을 공동으로 수립하고 ▲기반 시설 개선, ▲관광상품 고도화, ▲유치·홍보 강화 및 제도 개선, ▲인센티브 제공 등 4대 전략과제를 이행했다. 그 결과 국내 크루즈 방한 관광객은 2023년 27만4000명에서 지난해 81만60명으로 전년 대비 약 3배 증가했다. 올해는 크루즈 방한 관광객 90만 명을 목표로 기항지의 기반 시설을 개선하고 기항지 관광콘텐츠를 확대할 계획이다.두 부처는 기항지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자체와 함께 기항지별 수용태세를 점검·개선하고, 각 기항지만의 지역 특색을 살린 관광상품을 개발해 고도화할 계획이다.특히 문체부는 기항지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올해 처음으로 기항지별 차별화된 관광콘텐츠 발굴부터 상품화, 사업자 연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크루즈 방한 관광객에게 다채로운 대한민국 지역관광의 매력을 선보일 예정이다.올해부터는 기항지 내 방한 관광객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해 법무부와 협업해 터미널 운영시간 연장, 법무부 선상 심사 사업 지원 등 관광객 편의도 개선한다. 이를 통해 크루즈 방한 관광객들이 기항지와 인근 지역에서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유도해 지역관광 활성화를 뒷받침할 계획이다.아울러 간담회 참석자들은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의 세관, 출입국 관리, 검역(CIQ) 현장도 점검하고 터미널 운영 개선 사항 등을 논의한다. 해수부는 앞으로도 터미널 시설 개선, 탄력적 인력 배치 등 터미널 운영 효율화 방안을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문체부 유인촌 장관은 "크루즈관광은 대규모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지역관광 활성화 수단 중 하나"라며 "앞으로도 해수부, 지자체와 함께 크루즈 방한 관광객들이 기항지는 단순한 정박지가 아닌 새로운 관광지라는 인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기항지와 인근 지역을 관광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 이전글선불대포폰매입문의 탤래 TSBUSIM 탬스뷰선불유심내구제 정식업체 화성시저신용 신불자무조건대출 휴대폰연체대납소액 XEN 25.05.26
- 다음글강남 수서가라오케 한전 공기업 최초로 쏘카 도입10년간 25.05.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