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집 『괜찮으면 웃어주세요』(정진홍 지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산문집 『괜찮으면 웃어주세요』(정진홍 지 > 공지사항

산문집 『괜찮으면 웃어주세요』(정진홍 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5-24 18:52

본문

산문집 『괜찮으면 웃어주세요』(정진홍 지 산문집『괜찮으면 웃어주세요』(정진홍 지음·당대) “삶의 자리에서 죽음을 바라보면” 지레 숨이 막힙니다. 두렵고, 허무하고, 절망적입니다. 산다는 것이 그렇습니다. 그런데 “죽음자리에서 삶을 바라보면” 갑자기 삶이 넉넉해집니다. 삶을 잘 가꾸어야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서두르지 않아도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 싫고 미운 것이 없지 않은데도 어서 싫은 것 좋아하고, 미운 것 사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억지로 애를 쓰지 않아도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정진홍 산문집 『괜찮으면 웃어주세요』10년도 전의 일이다. 급하게 옷을 사야 했다. 대충 골라집어 계산하는데 점주는 사은품으로 티셔츠가 나간다며 사이즈를 물었다. “안 주셔도 돼요”라고 했지만 점주는 “면 100%예요”라며 물러서지 않았다.“그럼 아무거나 주세요.” 그렇게 받아온 그 ‘라지 사이즈 티셔츠’는 아마 근 10년간 가장 많이 입은 옷일 거다. 하도 빨아서 구멍도 몇 개 났다. 생각해 보면 웃긴 일이다. 작정하고 가도 마음에 드는 옷 찾기가 쉽지 않은데 그런 옷을 나의 의사에 반(反)해 만나게 됐으니. 더 웃긴 건 정작 그날 제값을 주고 산 옷이 뭐였는지는 기억도 안 난다는 거다.지금 인생에서 꽤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들을 사실 이렇게 의도치 않게, 심지어 의사에 반해 만나게 되는 일은 적지 않다. 내 인생의 멘토를 만난 것도 그랬다. 지금 다니고 있는 이 신문사 면접에서 떨어졌던 나는 다음 공채를 기다리며 6개월 과정의 인문학 프로그램에 지원했다. 프로그램에 종교학 수업도 있다는 건 합격한 뒤에야 알았다.일주일에 한 번, 백발 노교수와의 만남은 그렇게 시작됐다. 강의는 수업이라기보단 모든 것을 열어놓고 이야기하는 시간이었다. (수업 명도 ‘열림과 닫힘’이었다) 애초에 종교 자체가 사람들이 터부시하는 주제 아닌가. 죽음도 마찬가지였다. 살날이 창창한 젊은이들 앞에서 노교수는 아무렇지 않게 죽음을 이야기했다.한국전쟁 때 아버지가 피랍됐다는 노교수는 ‘애비 없는 아이’로 컸던 설움을, 학창 시절 당신의 삶이 한때 죽고 싶은 마음으로만 가득했음을 아무렇지 않게 고백했다. 수업은 어디에서도 꺼내지 못했던 마음과 생각을 말하고 쓰는 시간이었다. 노교수는 1937년생이다. 내가 이제껏 알고 지내는 세상 사람 중 가장 나이가 많다. 하지만 내가 알고 지내는 세상 사람 중 가장 젊다. 내뱉는 발언들은 투명하리만치 솔직한데 조금도 무례한 법이 없다. 정진홍 산문집 『괜찮으면 웃어주세요』 뒤표지에 수록된 산문집『괜찮으면 웃어주세요』(정진홍 지음·당대) “삶의 자리에서 죽음을 바라보면” 지레 숨이 막힙니다. 두렵고, 허무하고, 절망적입니다. 산다는 것이 그렇습니다. 그런데 “죽음자리에서 삶을 바라보면” 갑자기 삶이 넉넉해집니다. 삶을 잘 가꾸어야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서두르지 않아도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 싫고 미운 것이 없지 않은데도 어서 싫은 것 좋아하고, 미운 것 사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억지로 애를 쓰지 않아도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정진홍 산문집 『괜찮으면 웃어주세요』10년도 전의 일이다. 급하게 옷을 사야 했다. 대충 골라집어 계산하는데 점주는 사은품으로 티셔츠가 나간다며 사이즈를 물었다. “안 주셔도 돼요”라고 했지만 점주는 “면 100%예요”라며 물러서지 않았다.“그럼 아무거나 주세요.” 그렇게 받아온 그 ‘라지 사이즈 티셔츠’는 아마 근 10년간 가장 많이 입은 옷일 거다. 하도 빨아서 구멍도 몇 개 났다. 생각해 보면 웃긴 일이다. 작정하고 가도 마음에 드는 옷 찾기가 쉽지 않은데 그런 옷을 나의 의사에 반(反)해 만나게 됐으니. 더 웃긴 건 정작 그날 제값을 주고 산 옷이 뭐였는지는 기억도 안 난다는 거다.지금 인생에서 꽤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들을 사실 이렇게 의도치 않게, 심지어 의사에 반해 만나게 되는 일은 적지 않다. 내 인생의 멘토를 만난 것도 그랬다. 지금 다니고 있는 이 신문사 면접에서 떨어졌던 나는 다음 공채를 기다리며 6개월 과정의 인문학 프로그램에 지원했다. 프로그램에 종교학 수업도 있다는 건 합격한 뒤에야 알았다.일주일에 한 번, 백발 노교수와의 만남은 그렇게 시작됐다. 강의는 수업이라기보단 모든 것을 열어놓고 이야기하는 시간이었다. (수업 명도 ‘열림과 닫힘’이었다) 애초에 종교 자체가 사람들이 터부시하는 주제 아닌가. 죽음도 마찬가지였다. 살날이 창창한 젊은이들 앞에서 노교수는 아무렇지 않게 죽음을 이야기했다.한국전쟁 때 아버지가 피랍됐다는 노교수는 ‘애비 없는 아이’로 컸던 설움을, 학창 시절 당신의 삶이 한때 죽고 싶은 마음으로만 가득했음을 아무렇지 않게 고백했다. 수업은 어디에서도 꺼내지 못했던 마음과 생각을 말하고 쓰는 시간이었다. 노교수는 1937 산문집 『괜찮으면 웃어주세요』(정진홍 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A동 2907~2909호(송도동, 송도 센트로드)
사업자 등록번호. 836-87-00147 대표. 김문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이정윤
전화. 1833-6199 팩스. 032-232-503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2-인천연수구-0553호
Copyright © 2001-2013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All Rights Reserved.

오늘 본 상품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