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권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가 주식 시황판을 주시하고 있다. ⓒ AFP/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가 불타오르고 있다. 미국이 베트남과의 무역합의 소식을 전격적으로 발표한 것이 대형 호재로 작용하며 증시를 끌어올렸다.미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이틀만에 경신했다. S&P500 지수는 전날 29.41포인트(0.47%) 오른 6227.42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30일 기록한 종전 고점 기록을 다시 깼다.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종합지수도 전날보다 190.24포인트(0.94%) 오른 2만 393.13에 마감하면서 최고치 경신을 눈앞에 뒀다. 전통적인 우량주로 구성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0.52포인트(0.02%) 하락한 4만 4484.42에 마감했다.이날 상승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도출했다고 밝히면서 미국이 세계 각국과 진행 중인 무역협상이 진전될 것이라는 낙관론이 커진 게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베트남산 제품에 책정했던 46% 상호관세를 20%로 인하하는 대신 미국산 제품을 무관세로 수입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특히 베트남 제조 의존도가 높은 나이키는 이날 협상 합의 발표 후 4.06% 상승했다. 마이클 포켄더 미국 재무부 부장관은 미 경제전문매체 C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다음주 다수의 협정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다만 민간 부문 고용이 예상 밖으로 크게 위축됐다는 소식이 상승세에 힘을 뺐다. 미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지난달 미국의 민간기업 고용이 전월 대비 3만 3000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월간 민간기업 고용이 이처럼 감소한 것은 지난 2023년 3월(-5만 3000명)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이런 가운데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올해 2분기(4~6월) 차량 인도량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 감소했다. 트럼프 정부에서 정부효율부 수장을 맡았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감과 중국산 전기차의 격화된 공세 영향으로 해석된다.테슬라는 2분기에 전기차 38만 4100여대를 팔았다.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이 내놓은 예상치(38만 7000대)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2분기 연속 감소다. 2022년 이후 최악의 실적이었던 1분기보다는 나아졌다. 테슬라는 1분기에 전년보다 13%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 대가로 러시아에서 받은 이동식 방공 시스템인 ‘판치르 S-1’을 평양 방어에 활용하고 있다고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이 주장했다.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 조약) 체결 1년을 맞이한 가운데 북·러 군사 협력이 한층 더 구체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인디펜던트에 따르면 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장은 현지 라디오 인터뷰에서 “첫 번째 판치르는 이미 평양에 설치돼 수도 방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북한 인력들을 재교육하고 있고, 곧 북한이 이 기술을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의 대표적 방공무기 '판치르'. 타스연합뉴스 러시아어로 ‘갑옷’이라는 뜻을 가진 판치르는 러시아가 개발한 대표적인 방공무기로, 레이더 체계를 토대로 지대공 유도미사일, 대공포 등 무장을 갖췄다. 40여㎞ 상공의 순항미사일이나 드론을 탐지해 사거리 20㎞에서 요격 가능하다. 앞서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는 북한이 지난해 11월 이후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에 약 900만발의 포탄과 100여발의 탄도미사일 등을 제공했고, 러시아는 북한에 판치르 전투차량,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장비 등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북한에 첨단 전자전 체계를 제공하고 최신 군함 건조를 지원하는 한편, 단거리탄도미사일 KN-23 개량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전해진다.북한의 판치르 도입은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적 협력이 심화하는 신호라고 키이우인디펜던트는 분석했다. 부다노우 국장은 “북한이 러시아와 협력을 통해 군사력을 크게 강화하고 있다”며 무기, 군사기술 지원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실전 경험도 쌓고 있다고 설명했다.부다노우 국장은 북한의 병력 지원이 직접 파병과 같은 기존 방식과 다른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도 제기했다. 그는 러시아 내 북한 국적자 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들 중 일부가 러시아군에 자발적으로 입대함으로써, 북한의 병력 파
미국 뉴욕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