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정책포럼서 주제발표독자모델 개발·국제 연대
과학기술 정책포럼서 주제발표독자모델 개발·국제 연대 강조효율적 전략, 일자리 창출 유도이광형 KAIST 총장이 7일 대전 본원에서 ‘과학기술 정책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새 정부의 최우선 국정 과제인 글로벌 AI 3강 도약은 우리만의 독자적인 AI 모델 구축과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인공지능(AI)반도체 개발, 국제적 연대 등 세 가지 전략으로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이광형(사진) KAIST 총장은 7일 대전 KAIST 본원에서 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 주최로 열린 ‘2025년 제1회 과학기술 정책포럼’에서 대한민국 AI 3강 실현 전략에 대해 이같이 제시했다.이 총장은 이날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 방안 및 출연연 역할 강화’에 관한 주제 발표를 통해 “우리나라는 미국, 중국 등과 함께 독자적인 포털을 보유한 국가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며 “앞으로 독자적으로 AI 모델을 확보할 수 있는 잠재력과 기술력을 가진 국가로 미국, 중국과 함께 한국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피력했다.세계적으로 AI 대전환 가속화 속에서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국가적 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이 총장은 짚었다.이 총장은 이를 위해 △특화 분야 중심의 독자 AI 모델 개발 △AI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AI반도체 개발 △국제연대를 통한 협력 강화 등 세 가지 전략을 제안했다.그는 “AI의 핵심 기술인 반도체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만큼 3대 전략과 연계한다면 AI 분야에서 충분히 세계 3강에 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AI 3대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선 인력, 인프라, 데이터, 자본, 시장 등이 더욱 탄탄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이광형 KAIST 총장. KAIST 제공이 총장은 “결국 기술은 사람에게서 나오는 것이어서 대학과 대학원 정원을 두 배 늘려 AI 인재 양성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이런 AI 인재들이 연구할 수 있는 AI 우수 연구대학들의 연합체 형식인 네트워크 연구조직으로 ‘AI전문연구소’를 설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AI 인재양성 확대와 함께 A과학기술 정책포럼서 주제발표독자모델 개발·국제 연대 강조효율적 전략, 일자리 창출 유도이광형 KAIST 총장이 7일 대전 본원에서 ‘과학기술 정책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새 정부의 최우선 국정 과제인 글로벌 AI 3강 도약은 우리만의 독자적인 AI 모델 구축과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인공지능(AI)반도체 개발, 국제적 연대 등 세 가지 전략으로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이광형(사진) KAIST 총장은 7일 대전 KAIST 본원에서 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 주최로 열린 ‘2025년 제1회 과학기술 정책포럼’에서 대한민국 AI 3강 실현 전략에 대해 이같이 제시했다.이 총장은 이날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 방안 및 출연연 역할 강화’에 관한 주제 발표를 통해 “우리나라는 미국, 중국 등과 함께 독자적인 포털을 보유한 국가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며 “앞으로 독자적으로 AI 모델을 확보할 수 있는 잠재력과 기술력을 가진 국가로 미국, 중국과 함께 한국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피력했다.세계적으로 AI 대전환 가속화 속에서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국가적 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이 총장은 짚었다.이 총장은 이를 위해 △특화 분야 중심의 독자 AI 모델 개발 △AI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AI반도체 개발 △국제연대를 통한 협력 강화 등 세 가지 전략을 제안했다.그는 “AI의 핵심 기술인 반도체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만큼 3대 전략과 연계한다면 AI 분야에서 충분히 세계 3강에 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AI 3대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선 인력, 인프라, 데이터, 자본, 시장 등이 더욱 탄탄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이광형 KAIST 총장. KAIST 제공이 총장은 “결국 기술은 사람에게서 나오는 것이어서 대학과 대학원 정원을 두 배 늘려 AI 인재 양성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이런 AI 인재들이 연구할 수 있는 AI 우수 연구대학들의 연합체 형식인 네트워크 연구조직으로 ‘AI전문연구소’를 설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AI 인재양성 확대와 함께 AI 인프라를 중앙 집중형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놨다. 그는 “대규모 AI를 위한 GPU를 설치·운영할 수 있는 ‘AI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데이터센터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냉각을 위해 발전소 근처에 전략적으로 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개인정보보호와 데이터 활용의 균형을 통해 양질의 학습
과학기술 정책포럼서 주제발표독자모델 개발·국제 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