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대미 철강 수출량 14.9%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3월 대미 철강 수출량 14.9% > 공지사항

3월 대미 철강 수출량 14.9%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42회 작성일 25-04-18 09:53

본문

3월 대미 철강 수출량 14.9% 3월 대미 철강 수출량 14.9%↓알루미늄도 전년 동월비 4.7%↓수요 부진 겹쳐 장기 침체 우려관세 일부 영향 가능성 관측도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부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고율 관세를 전면 부과하면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에도 직접적인 타격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의 3월 대미 수출이 일제히 감소세로 돌아서며, 통상 압박이 수출 전선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18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3억400만달러(약 4319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9% 감소했다. 수출 물량 기준으로도 25만t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9% 줄었다. 같은 기간 알루미늄 수출량 역시 9만6844t으로 전년 동월보다 약 4.7% 감소했다. 경기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강진형 기자이번 수출 감소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철강 분야에 처음으로 글로벌 통상 압박 카드를 본격적으로 꺼낸 데 따른 여파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2일부터 기존에 적용하던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수입 쿼터 및 관세 면제 조치를 종료하고, 전 세계 대상 고율 관세 부과를 시작했다. 이에 따라 철강 제품에는 25%, 알루미늄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가 적용됐다.관세 부과로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지켜왔던 우리나라 철강사의 입지가 약화하고, 미국 철강사의 비중이 다시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관세 부과로 수출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다"며 "미국 내 철강 수요도 자동차 산업 부진 등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용 철강판 수출액은 26.5% 줄어 감소 폭이 컸다. 다만 강관 제품의 경우 4.5% 증가해 관세 영향이 품목별로 엇갈려 나타났다.업계에서는 철강 수출 감소가 단기 현상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관세는 가격 경쟁력에 직접 타격을 주는 만큼, 기존 물량 유지 또한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미국 현지 수요가 정체된 데다 관세 부담까지 겹치면서 수출이 급3월 대미 철강 수출량 14.9%↓알루미늄도 전년 동월비 4.7%↓수요 부진 겹쳐 장기 침체 우려관세 일부 영향 가능성 관측도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부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고율 관세를 전면 부과하면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에도 직접적인 타격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의 3월 대미 수출이 일제히 감소세로 돌아서며, 통상 압박이 수출 전선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18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3억400만달러(약 4319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9% 감소했다. 수출 물량 기준으로도 25만t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9% 줄었다. 같은 기간 알루미늄 수출량 역시 9만6844t으로 전년 동월보다 약 4.7% 감소했다. 경기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강진형 기자이번 수출 감소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철강 분야에 처음으로 글로벌 통상 압박 카드를 본격적으로 꺼낸 데 따른 여파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2일부터 기존에 적용하던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수입 쿼터 및 관세 면제 조치를 종료하고, 전 세계 대상 고율 관세 부과를 시작했다. 이에 따라 철강 제품에는 25%, 알루미늄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가 적용됐다.관세 부과로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지켜왔던 우리나라 철강사의 입지가 약화하고, 미국 철강사의 비중이 다시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관세 부과로 수출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다"며 "미국 내 철강 수요도 자동차 산업 부진 등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용 철강판 수출액은 26.5% 줄어 감소 폭이 컸다. 다만 강관 제품의 경우 4.5% 증가해 관세 영향이 품목별로 엇갈려 나타났다.업계에서는 철강 수출 감소가 단기 현상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관세는 가격 경쟁력에 직접 타격을 주는 만큼, 기존 물량 유지 또한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미국 현지 수요가 정체된 데다 관세 부담까지 겹치면서 수출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다"며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 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일각에선 이번 수출 감소가 관세의 직접 영향이라 단정하긴 이르다는 의견도 나온다.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의 특성 3월 대미 철강 수출량 14.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A동 2907~2909호(송도동, 송도 센트로드)
사업자 등록번호. 836-87-00147 대표. 김문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이정윤
전화. 1833-6199 팩스. 032-232-503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2-인천연수구-0553호
Copyright © 2001-2013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All Rights Reserved.

오늘 본 상품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