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울토마토밭이 완성되었다면 이제 계획했던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방울토마토밭이 완성되었다면 이제 계획했던 > 공지사항

방울토마토밭이 완성되었다면 이제 계획했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31회 작성일 25-04-18 20:20

본문

방울토마토밭이 완성되었다면 이제 계획했던 심는시기에 맞춰 모종을 심어 주면 되는데요. 그런데 서두에 말씀드렸듯 방울토마토는 덩굴 작물도 아닌데 지지대가 꼭 필요한 작물 중 하나 입니다.직접재배오늘 주제가 실내에서 방울토마토를 키우는 것이 아닌 노지 텃밭에서 방울토마토를 키울 경우이기 때문에 씨앗 파종시기는 제외하고 이렇게 모종 심는 시기만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이유는 텃밭에서 방울토마토를 주작물로 심는 경우가 드물고 무엇보다 방울토마토를 육묘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그럼 방울토마토 모종 언제 심을까요? 사실 지방별로 나눠 볼 것도 없이 늦서리 피해가 없는 5월에 심는 대표적인 작물입니다. 그리고 요즘 워낙 날씨가 이상해서(오늘 4월 13일 안성지역에 비와 함께 눈이 왔어요) 이렇게 추위에 약한 작물의 경우 조금 일찍보다는 조금 늦게 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그리고 방울토마토 모종 심는 깊이는 가장 일반적인 상식은 모종 상단흙과 두둑 상단 흙이 수평이 되게 심는 것이지만 저의 경우 종종 이렇게 심지 않고 마치 대파 모종 심듯 1~2cm 정도 깊이 심기 할 때도 있습니다. 특히나 구입한 모종이 웃자랐을 경우 이렇게 깊이 심기를 하는데요. 이유는 방울토마토는 줄기에서도 뿌리가 왕성하게 발생하는데 이렇게 깊이 심기 할 경우 기존 뿌리는 물론 줄기에서도 뿌리가 나오기 때문에 왕성한 생육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방울토마토 심는시기 하면 5월인데 왜 벌써부터 글을 쓰냐구요? 이유는 밭만들기를 미리 해야 하고 특히 비료 중 유기질 비료인 퇴비의 경우 모종심기 2~3주 전 뿌려 가스를 빼야 하기 때문에 본인이 계획한 심는시기를 고려 항상 밭만들기는 빠르면 3주 전부터 늦어도 2주 전부터는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방울토마토는 덩굴 작물이 아님에도 지지대를 세워 키워야 하는 아주 특별한 텃밭작물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항상 비교되는 일반 토마토보다 병해가 조금은 덜하다 보니 텃밭엔 일반 큼직한 토마토 보다 방울토마토가 좀 더 인기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오늘 글을 끝까지 확인하시면 아마도 어떤 품종의 토마토가 되었든 전문가 못지않게 텃밭에서 토마토를 재배해 나갈 수 있게 되실 테니 올해는 방울토마토와 함께 큼직한 토마토도 함께 모종으로 심어 보셨으면 합니다.산성 토양은 싫어하고 비옥 진 밭을 좋아하는 방울토마토 특성상 토양산도가 6.0ph 이하일 경우 석회고토를 모종심기 한 달 전 단독으로 뿌려 약산성 6.5ph 정도로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퇴비는 위에서 말씀드렸듯 모종심기 2~3주 전 평당 10kg 정도를 넣어 주시고 복합비료는 평당 200g 정도가 적당합니다. 물론 텃밭 비옥도가 모두 다르고 비료 또한 제품마다 시비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참고 정도로만 활용해 주시면 됩니다.심는깊이: 조금 깊게 심어도 좋아요중부지역 기준으로 했을 때 5월 상순 ~ 중순 가장 많이 방울토마토 모종을 정식하는데 이때가 아니어도 모종을 심을 순 있지만 이때 심는 것이 가장 생육상태가 좋으니 일 년 중 한차례 방울토마토 모종을 심는다면 꼭 5월 가기 전 건강한 방울토마토 모종을 구입해 심어주시길 추천드립니다.남부지역: 4월 말 ~ 5월김경호 앵커>최근 발생한 역대급 산불에서 '임도'의 역할이 재조명 됐습니다.산불 진화와 숲 관리를 위해 산에 낸 길을 '임도'라고 하는데요.김현지 앵커>산림청에서 이번에 임도 설계기준을 대폭 강화했다고 합니다.산림청 목재산업과 이성진 과장과 함께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출연: 이성진 / 산림청 목재산업과 과장)김경호 앵커>일반 국민들은 '임도'가 생소할 수 있습니다.우선, 임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시겠어요?김현지 앵커>최근 산불 대응 과정에서 임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는데요.산불 진화에 있어 임도는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나요?김경호 앵커>임도의 유무에 따라 산불 진화 속도에 차이가 있었다고 하셨는데요.이번 경남 산불에서도 그런 차이가 뚜렷했다고요?김현지 앵커>지금 산림청 영상을 보면 2023년 산불이 났던 경남 합천의 임도 모습이 보입니다.진화차량 이동이 수월해 보이는데요.당시, 임도 덕분에 진화 속도가 빨라졌다고요?김경호 앵커>임도 설계기준을 강화했다고 하는데요.어떤 점에서 실질적인 재난 대응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까요?김현지 앵커>높은 비탈길에 임도를 낼 때는 위험할 텐데요.지반이 약한 구간 역시 마찬가지구요.이에 대해서도 기준이 새로 생겼다고요?김경호 앵커>임도 내 배수구·교량 등 구조물 설계 기준도 강화됐다고 하는데요.이런 기준 강화가 왜 중요한지,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설명해주시죠.김현지 앵커>최근 집중호우처럼 기후변화가 잦아지면서, 이를 반영한 임도 설계 기준도 마련됐다고 하는데요.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가요?김경호 앵커>임도 설치가 적절한지 판단하는 기준에 '재해 안전성'과 '효율성'이 추가됐다고 하는데요.추가된 배경은 무엇인가요?김현지 앵커>임도가 산불 진화뿐 아니라 산불 확산방지 기능도 한다고 들었는데요, 어떤 방식으로 확산을 막나요?김경호 앵커>임도 설치과정에서 생태계 보호를 위해 어떤 부분이 달라졌나요?김현지 앵커>또한, 임도는 산불뿐 아니라 산림복지나 생태관광 같은 공익 기능에도 중요한 기반시설이라고 하는데요,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나요?김경호 앵커>산림 재난 대응을 위한 산림청의 많은 과제가 있을 것 같습니다.마지막으로,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시죠.김경호 앵커>지금까지 산림청 목재산업과 이성진 과장과 이야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A동 2907~2909호(송도동, 송도 센트로드)
사업자 등록번호. 836-87-00147 대표. 김문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이정윤
전화. 1833-6199 팩스. 032-232-503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2-인천연수구-0553호
Copyright © 2001-2013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All Rights Reserved.

오늘 본 상품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