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국가들, 식민 지배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서아프리카 국가들, 식민 지배 > 공지사항

서아프리카 국가들, 식민 지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8회 작성일 25-04-21 14:11

본문

서아프리카 국가들, 식민 지배국 프랑스와 관계 단절러시아, 우크라 전쟁으로 영향력 약화…中 입지 확대경제 협력 연계해 軍지원…"리튬·석유·우라늄 등 관심"[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중국이 아프리카에서 무기 판매를 늘리며 프랑스와 러시아의 무기 공급 공백을 메우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AFP)비영리 싱크탱크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부르키나파소 군부 정권은 지난해 중국으로부터 보병 수송 장갑차 116대와 돌격 차량 6대를 인도받았다. SCMP는 소식통을 인용해 “아프리카 사헬 지역 국가들이 식민 지배국가였던 프랑스와 결별하고 무기 재고를 중국산으로 대체하고 있다”며 “부르키나파소는 프랑스 및 미국과의 관계 악화 이후 안보 파트너를 다변화할 필요성을 느끼면서 중국산 무기에 관심을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프랑스가 부르키나파소에 무기를 인도했던 것은 2019~2020년 바스티온 장갑차 6대가 마지막이다. 미국은 2021년 엔진을 공급한 게 마지막이다. 프랑스는 식민 지배했던 사헬 지역 5개국(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차드, 모리타니)에서 알카에다, 이슬람국가(ISIS) 등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을 격퇴하기 위해 2014년 8월부터 대테러 작전(바르카네’ 작전)을 펼쳤다. 이 작전은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에서 쿠데타가 발생해 2022년 종료됐다. 프랑스는 각국 정권의 요구에 따라 자국 군대를 철수시켰다. 부르키나파소는 프랑스군을 강제 추방했고, 말리와 니제르는 프랑스와 안보 관계를 단절했다. 니제르 군부는 대테러 작전에 관여했던 미국과의 군사 관계도 끊었다. 이후 러시아가 민간 용병그룹인 와그너그룹을 동원해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무기 공급 속도가 현저히 둔화했다. 이는 중국에 기회로 작용했다. 중국 최대 무기 제조업체인 중국북방공업그룹(Norinco·노린코)은 나이지리아와 세네갈에 무기 판매 사무소를 두고 서아프리카 내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노린코는 올해 1월에도 부르키나파소에 장갑차를 대량 인도했다. 중국이 개혁이나 인권 약속을 서아프리카 국가들, 식민 지배국 프랑스와 관계 단절러시아, 우크라 전쟁으로 영향력 약화…中 입지 확대경제 협력 연계해 軍지원…"리튬·석유·우라늄 등 관심"[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중국이 아프리카에서 무기 판매를 늘리며 프랑스와 러시아의 무기 공급 공백을 메우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AFP)비영리 싱크탱크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부르키나파소 군부 정권은 지난해 중국으로부터 보병 수송 장갑차 116대와 돌격 차량 6대를 인도받았다. SCMP는 소식통을 인용해 “아프리카 사헬 지역 국가들이 식민 지배국가였던 프랑스와 결별하고 무기 재고를 중국산으로 대체하고 있다”며 “부르키나파소는 프랑스 및 미국과의 관계 악화 이후 안보 파트너를 다변화할 필요성을 느끼면서 중국산 무기에 관심을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프랑스가 부르키나파소에 무기를 인도했던 것은 2019~2020년 바스티온 장갑차 6대가 마지막이다. 미국은 2021년 엔진을 공급한 게 마지막이다. 프랑스는 식민 지배했던 사헬 지역 5개국(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차드, 모리타니)에서 알카에다, 이슬람국가(ISIS) 등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을 격퇴하기 위해 2014년 8월부터 대테러 작전(바르카네’ 작전)을 펼쳤다. 이 작전은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에서 쿠데타가 발생해 2022년 종료됐다. 프랑스는 각국 정권의 요구에 따라 자국 군대를 철수시켰다. 부르키나파소는 프랑스군을 강제 추방했고, 말리와 니제르는 프랑스와 안보 관계를 단절했다. 니제르 군부는 대테러 작전에 관여했던 미국과의 군사 관계도 끊었다. 이후 러시아가 민간 용병그룹인 와그너그룹을 동원해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무기 공급 속도가 현저히 둔화했다. 이는 중국에 기회로 작용했다. 중국 최대 무기 제조업체인 중국북방공업그룹(Norinco·노린코)은 나이지리아와 세네갈에 무기 판매 사무소를 두고 서아프리카 내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노린코는 올해 1월에도 부르키나파소에 장갑차를 대량 인도했다. 중국이 개혁이나 인권 약속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 중국이 러시아와 협력 관계라는 점도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었던 이유로 꼽힌다. 그 결과 현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A동 2907~2909호(송도동, 송도 센트로드)
사업자 등록번호. 836-87-00147 대표. 김문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이정윤
전화. 1833-6199 팩스. 032-232-503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2-인천연수구-0553호
Copyright © 2001-2013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All Rights Reserved.

오늘 본 상품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