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지속가능경영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LG유플러스 지속가능경영 > 공지사항

LG유플러스 지속가능경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7-01 12:25

본문

LG유플러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LG유플러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가 1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SK텔레콤은 ESG 경영 전반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하는 새로운 ESG 경영 비전인 '두 더 굿 AI'(DO THE GOOD AI)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작성했다. 두 더 굿 AI는 AI로 통신과 기술의 경쟁력을 높이면서(DO AI), AI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T.H.E. AI), AI가 세상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도록 ESG 경영을 추진하는(GOOD AI) 것을 목표로 한다.특히 SK텔레콤은 정보보안 파트에서 지난 4월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를 언급하며 "모든 고객이 안심할 수 있도록 고객 정보 보호와 재발 방지를 위한 보안 체계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이사회와 ESG위원회 총괄 아래 CEO를 비롯한 최고운영책임자(COO), 최고경영책임자(CSPO) 등 주요 최고 경영진이 정보보호 추진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정보보안 전담 조직에 고객정보보호팀·IT보안팀·사이버 위협대응팀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KT도 ESG 전 영역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주요 성과를 보고서에 담았다.KT는 이중 중대성 평가 가이드라인을 적용해 AICT(인공지능+정보통신) 본업의 혁신 성장, 기후변화 대응(탄소중립), 서비스 품질 및 책임(네트워크 안정성), 공정거래 및 법규 준수 등 4대 핵심 이슈를 선정했다.이중 중대성 평가는 ESG 이슈가 기업 재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기업 활동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까지 함께 고려하는 방식이다.아울러 KT는 이번 보고서 발간을 계기로 ESG 정보의 사내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임직원 전용 AI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 'ESG AI 에이전트'를 새롭게 도입한다고 밝혔다.보고서 내 주요 내용을 기반으로 실시간 질의응답이 가능해, ESG 정보 접근성과 실무 활용도를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KT는 기대했다. LG유플러스는 열세 번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코로나19 방역을 효과적으로 이끌며 국민적 신뢰를 얻었던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이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제약바이오 업계에서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신종 감염병 유행에 대응할 수 있는 국산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 개발에 리더십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면서다. 의료계도 의사 출신인 정 후보자가 어렵게 꼬여버린의정 갈등을 해소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코로나 유행 당시 정 후보자의 배우자가 진단키트, 마스크 등 코로나 수혜주 관련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임명을 반대 목소리도 속속 나오고 있다. 정 후보자의 복지부장관 인사청문회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mRNA 국산 백신 성과 도출 기여 기대제약바이오 업계가 정 후보자의 복지부 장관 임명을 기대하는 이유는 아직까지 국내에서 개발에 성공하지 못한 mRNA 백신 때문이다.메신저리보핵산(mRNA)은 바이러스 등에 대항할 수 있는 단백질을 만드는 법을 인체에 알려주는 유전 물질을 말한다. 이 기술을 보유하면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만 알면 신속하게 백신을 설계하고 생산할 수 있게 된다. mRNA 백신은 코로나19 팬데믹 극복에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정 후보자는 감염병 전문가다. 과거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에서 근무하며 2009년 신종플루와 2015년 메르스 대응을 주도했으며 코로나가 터지기 전인 2017년 질병관리본부장에 취임할 당시에도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왔다.코로나가 확산하면서 2021년 신속하게 신종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는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확보를 위해 해외 연구자들과 국내 연구자들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지만 공직 재임 기간 동안 목표를 완수하지 못하고 임기가 만료됐다.아직까지도 mRNA 백신 개발에 성공한 국내 기업은 없다. 질병관리청은 mRNA 백신 제품 품목허가를 목표로 올해부터 2028년까지 5052억원을 연구개발(R&D) 지원에 투입하고 있다. 정부 지원을 받는 기업은 GC녹십자, 유바이오로직스, 레모넥스, 아이진 컨소시엄(아이진, 한국비엠아이, 알엔에이진, 마이크로유니, 메디치바이오) 등 4곳이다.정 후보자가 복지부 장관에 임명되면 감염병 대비 인프라 강화와 백신 정책, R&D 협업 촉진 등에서 강력한 추진 역량을 발휘해 mRNA 국산 백신 성과 도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의료 현장 이해도 높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A동 2907~2909호(송도동, 송도 센트로드)
사업자 등록번호. 836-87-00147 대표. 김문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이정윤
전화. 1833-6199 팩스. 032-232-503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2-인천연수구-0553호
Copyright © 2001-2013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All Rights Reserved.

오늘 본 상품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