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연합뉴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연합뉴스 [서울경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의 의원직 박탈을 요구하는 국민동의청원에 60만 명이 넘는 시민이 참여했다. 이는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청원(143만 명 동의)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동의를 얻은 것이다.2일 국회 전자청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준석 의원 의원직 제명에 관한 청원’은 이날 오후 1시 30분 기준 60만654명의 동의를 기록했다. 국민동의청원은 5만 명 이상 동의를 받으면 국회 소관위원회에 회부되지만, 현재 이 청원은 위원회 회부 일정조차 잡히지 않은 상태다.이 청원은 지난 5월 27일 진행된 ‘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TV토론’에서 비롯됐다. 당시 이 의원은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를 향해 여성 신체에 관한 폭력적 표현을 인용한 발언을 해 ‘여성 혐오’ 논란을 일으켰다. 이 의원은 이 발언을 이재명 대통령 가족 검증 차원이라고 해명했으나, 여성 혐오와 신체적 폭력을 연상케 한다는 비판이 거셌다.청원을 게시한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이 의원은 모든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상대 후보를 공격하기 위해 여성 신체에 대한 폭력을 묘사하는 언어 성폭력을 저질렀다”며 “이 의원이 행했던 그동안의 차별·선동 행위와 대선 후보자 토론회에서의 부적절한 발언, 그리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무책임한 태도는 국회의원의 품위를 심각히 손상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헌법과 국회법에 따른 징계 사유에 해당한다”며 제명을 촉구했다.하지만 의원직 제명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제명을 심사할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구성되어 심사·의결을 해야 하며, 이후 본회의에서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200명)의 찬성이 필요하다. 현재 윤리특위는 구성되지 않아 국민동의청원이 5만 명을 넘었다고 해서 곧바로 제명이 이뤄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다.논란이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자 이 의원은 지난달 5일 선거대책본부 해단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표현을 완화했음에도 불쾌감을 느끼신 분들이 있는지는 예측하지 못했다”며 “같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기사 내용과는 무관하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북한이 핵 폐수를 소하천에 방류했다는 의혹을 두고 야당은 물론 여당도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원자력안전위원회 현장조사 결과 이상이 없다는 결과를 냈지만, 북한 방류 위험이 사라진 것은 아닌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언론보도로 제기된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폐수가 방류됐다는 의혹을 두고 국민의힘이 적극 정부에 대응을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논평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추가경정예산 종합정책질의를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협력까지 동원해 검증해야 한다는 입장을 냈다. 또 일본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 방류 때 더불어민주당이 극렬히 비판을 쏟아냈던 것과 태도가 상이하다는 것도 꼬집었다. 국민의힘 원내관계자는 “북한은 핵폐기물을 관리할 상식이나 기술력, 의지도 없는 상황이라 핵 폐수를 실제로 방류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적극적인 검증과 대응을 요구한 배경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풍계리에서 여러 번 핵실험을 했던 것도 그래서다. 한 곳에서만 핵실험을 한 나라가 없다”며 “이 때문에 산 고도가 낮아지고 지하수로 방사능 물질이 흘러 내천과 동해까지 퍼졌다는 게 대체적 분석”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인근 주민들은 피폭돼서 이른바 ‘귀신병’을 앓는다고 한다. 실제 풍계리에서 탈북한 분들은 건강검진 결과 피폭 상태였다”고 덧붙였다. 이에 원안위는 전날 전국 모든 지역 공간 방사선 준위가 평상시 변동 범위 내에 있다며 의혹을 일축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신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북단 지역 방사선 수치들을 구체적으로 받아 분석하려 하는데, 현 정부가 너무 미온적이라 자료를 믿기 어렵다”고 말했다. 민주당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통일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원안위 등이 대응책을 마련 중이라고 하고 원안위 분석 결과 모든 지역이 정상으로 확인됐다”면서도 “하지만 국민 건강, 안전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철저한 실태 파악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일본과 북한이 다를 수 없고, 여야도 따로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국민의힘의 정부 비판은 직전 집권여당이었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고 반박했다. 이 최고위원은 “의혹이 사실이라면 윤석열 정부 때 방치됐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연합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