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 '싱크넥스트 25'로 관객을 만나는 아티스트들의 개별 공연 포스터 /제공=세종문화회관 [서울경제] 여름의 시작과 함께 서울이 공연예술의 열기로 가득 찰 전망이다. 춤, 연극, 음악, 전통, 시각예술 등 일상에 새로운 영감과 활력을 불어넣는 무대가 오는 주말을 기점으로 줄줄이 막을 올린다.3일 공연 업계에 따르면 올해로 4년차를 맞는 세종문화회관의 여름 공연예술 축제 ‘싱크 넥스트 25’가 4일부터 10주간의 대장정을 시작한다. 총 18개 팀이 참여해 11개 프로그램, 32회 공연이 준비됐는데 올해는 80% 이상이 창작 및 초연 작품이다. 장르와 매체의 구분을 뛰어넘는 ‘무경계’ 무대도 풍성해 ‘창작자 발굴과 실험적 시도’라는 축제의 정체성이 뚜렷해졌다.4~6일 공연되는 개막작은 싱어송라이터 루시드폴, 보컬리스트 정마리, 설치미술가 부지현이 참여해 관객이 온몸으로 감각할 수 있는 무대를 꾸민다. 세 사람이 자유롭게 무대를 오르내리며 공연을 만들어가는 가운데 관객들도 자유롭게 이동하고 앉고 기대는 등 각자의 방식으로 무대를 감상한다. 또 극단 ‘코끼리들이 웃는다’가 45명 관객과 45명 배우가 일대일로 마주하는 독특한 구성의 신작 ‘마주하고 마주하니(20~22일)’를 선보이고 배우 및 코미디언으로 활동하는 문상훈이 스케치 코미디 ‘문상훈과 빠더너스(8월 22~24일)’를 무대에 올리는 등 9월 6일까지 다채로운 공연을 만날 수 있다.한국문화에술위원회(아르코)가 여름 대표 공연예술 축제를 하나로 묶어 첫선을 보이는 ‘아르코 썸 페스타’ 역시 이번 주말 프리뷰를 시작으로 시동을 건다. 연극계를 이끄는 원로 배우들이 주축이 된 ‘늘푸른연극제’부터 43년 역사의 ‘대한민국 연극제 인천’, 7월 한달간 클래식 작곡가 한 명을 집중 조명하는 ‘쥴라이 페스티벌’, 음악의 경계를 확장하는 실험적 축제 ‘힉엣눙크!’ 등 장르와 지역, 세대를 아우르는 전국 17개 축제가 포함됐다. 5~6일 서울 대학로에서 펼쳐지는 프리뷰에서는 아츠인탱크무용축제와 춘천공연예술제 등 무용 축제들이 펼치는 쇼케이스 ‘몸, 경계를 넘다’부터 농촌우수마당극큰잔치, 대한민국 마당극축제가 힘을 모아 선보이는 전통 축제 쇼케이스 ‘전통, 장르를 넘다’ 등을 만날 수 있다. 김경미 2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2025’를 찾은 중장년 구직자들이 각 기업의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문예빈 기자 [서울경제] “일하던 사람들은 그냥 못 있어요. 퇴직 후 그 많은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 막막하기도 하고요. 될 수 있는 한 계속 일하는 게 몸도 마음도 건강해지는 것 같아요.” (서울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참가자 유미옥(61) 씨)서울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가 열린 2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는 유씨처럼 ‘인생 2막’을 준비하는 중장년 구직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박람회가 개막한 전날과 다름 없는 인파였다.올해로 3회차를 맞은 ‘서울시 중장년 일자리박람회’는 서울시가 주최하고 서울시50플러스재단과 신용카드사회공헌재단이 공동 주관했다. 지난해와 달리 이틀로 확대해 진행됐으며 양일간 사전등록자 2590명, 현장등록자 1963명 등 총 4553명의 중장년 구직자가 현장을 찾았다. 2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2025’를 찾은 중장년 구직자들이 채용공고게시대를 살펴보고 있다. 문예빈 기자 채용 규모 확대···중장년 구직 문 넓힌 기업들이번 박람회에는 총 121개 기업이 참여해 지난해(71개)보다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현대홈쇼핑, LG하이케어솔루션, 쿠팡풀필먼트, 롯데GRS 등 기업은 총 1600여 명의 중장년 채용을 목표로 상담 및 면접을 진행했다. 재단 관계자는 “단순 노무에 머물렀던 기존 중장년 일자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직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의 참여를 확대했다”고 설명했다.실제로 현장에서는 다양한 직군의 중장년 지원자를 모집하고 있었다. 해외 파견 인재 채용을 위해 참가한 캐서린 스미스 국경없는의사회 인사국 매니저는 “나이지리아, 남수단, 우간다, 케냐 등지에서 의료, 인사, 재무, 물류 분야에 국제적으로 진출할 중장년 인재를 찾고 있다”며 “일반적인 파견 기간은 6개월이지만, 일과 삶의 균형을 고려해 업무 중간 임시 휴가를 내는 형태의 유연 근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인도적 지원 활동에 관심